기존 시스템
- 기존에는 평가를 희망하는 인원을 중대별로 종합하고
- 해당 인원들의 이름이 적힌 평가표를 인쇄한다.
- 한명씩 호명해서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관이 해당 평가표에 수기로 기입한다
- 평가가 완료되면 심사관은 심사표를 바탕으로 부대행정업무에 평가결과를 업로드한다.
- 담당 간부가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용사들의 병기본 항목을 최신화한다.
문제점
- 관리자가 자주 바뀜으로서 누락이 일어날 수 있음
- 중간과정에서 조작이 일어날 수 있음
- 병사가 자신의 병기본 현황을 쉽게 조회할 수 없음
해결방안
누락방지
평가, 기록, 조회 과정을 디지털로 통합함으로서 중간에 종이 서류로인해서 누락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한다.
개인별 앱 제공
개개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병기본 시험과목 수준을 한눈에 진단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함으로서 장병들이 병기본평가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게됩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뢰성 증가
평가항목을
IOT 기기를 활용한 체력검정 시스템 개선
활용방안
국방개혁 3.0 의 영향으로 군대는 병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있다. 각종 교육강의, 다양한 활동등을 교육훈련 외에 제공함으로서 장병들이 군생활을 좀 더 입체적으로 설계하고 전역 이후에도 단순히 삽질만 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아서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