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out - 7월부터 기획을 시작 → 꺾었다!
painpoint → 지금까지 이런게 부족했고 이걸 어떻게 해결할것인지! 단지 우리의 기술이 이렇게 잘 만들었어요! 가 아닌!
??? : 허위기사를 필터링해서 painpoint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 정훈과계열에서 수동으로 하던 걸 자동으로 해결해보자!
암호화 채팅 서비스 - 보안
#Pain Point - 보안
- 현 시점에서 군 부대내에서 유동병력 통제 (휴가, 외출/외박, 식사통제) 등을 카카오톡으로 관리하고 있음
- 타 부대에서 분대결산을 인터넷망 (카카오톡이나 기타 메신저)를 사용해 진행하는 경우를 식별함
- 간부들의 경우 인트라넷망, 무전망, 전장망 등이 없는 단순 업무상 외근시 불가피하게 인터넷망 (카톡, 텔레그램 등)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음
⇒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간부들의 핸드폰이 적에게 넘어갈 시에, 혹은 민간에 유출될 시 문제가 될만한 사항인가?
- 초대와 익명성의 이유로 오픈 채팅방 사용
⇒ 실제로 링크가 유출돼 민간인이 오픈 채팅방에 난입한 사건.
⇒ 오픈 채팅방에 초대된 인원이 정말 해당 군부대 인원인가?
- 작전 진행시 작전 시작 종료등의 신호가 유선을 통해 전파되고 있음.
#Issue Point - 보안
- 위 1,2,3 의 경우 군 기밀이라 함은 I, II, III 급 비밀 문서등을 말하는데 인터넷 망에서 유통되고 있는 데이터들이 과연 비문인가?
군사 비밀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