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7945&boardParam2=7945 군대 블록체인 도입 관련 논문

종단간 암호화 (E2EE) 는 사실 블록체인 기술이 아니라 그냥 암호화 기술의 일종이다.

현재 텔래그램과 카카오톡 비밀채팅에서 사용되는 1:1 대화내용을 제3자가 탈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 근데 서버 관리자도 못 보는 데이터라면 군대에 적용했을 때 비리등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지않을까? )

이전 회의에서 생각했던 부분 ( 비즈니스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핸드폰의 보안을 강화시키는 솔루션)

https://www.ibm.com/kr-ko/topics/mobile-device-management

이를 MDM( Mobile Device Management ) 라고 한다.

채널 환경이 열악한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데 전술적 환경에서는 P2P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개인, 부대, 무기체계들의 기동성 을 보장하기 위해 대부분의 전송매체가 무선이기 때문이다. 특히, 통신보안의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P2P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 들이 수신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통신보안 관점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2/22/JF7DAK3DOFAZ7BZO6JIAVZYBBI/

이거 하고싶었는데 킹-갓 라온시큐어가 상용화 해버렸다….

그냥 생각난건데 1:1 채팅을 할 때 이전 채팅 기록이 구름 처럼 모자이크 되어있고 2차 신원인증을 완료해야지만이 이전 채팅 내역들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것도 뭔가 보안적으로 탄탄해보일듯 ㅋㅋㅋㅋ

https://www.notion.so/31c82c4b4e79476ea11f86ebc20c4e63

블록체인 서비스 구축에 관한 어려움

블록체인은 결국 다수 즉 n명 이상의 peer가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승인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된 탈중앙화 분산화 데이터베이스 이므로 실제로 실습 때는 여러 대의 물리적인 서버가 필요하다. 물리적인 서버가 아니더라도 VM 이라도 있어야하는데 싸지방에서는 VM은 꿈도 못 꾼다.